검색

<갈등의 시작은 섭섭함입니다>

<갈등의 시작은 섭섭함입니다>

 

 

<갈등의 시작은 섭섭함입니다>

 

설교는 듣기 좋은 사람이 있다.

밥은 먹기 좋은 사람이 있다.

사람들은 잠시 지나가는 사람에게 해서 마음을 준다. 

 

그래서 가까이 있고, 함께 하는 사람에게 소홀하고 섭섭함을 안겨 경우가 많다.

가까이 있는 사람, 함께 하는 사람에게 잘해라.

멀리서는 좋아 보여도 가까이 하면 악취가 많이 난다.

 

어쩌다 듣는 말씀, 어쩌다 먹는 식사에 악취가 숨겨졌는지도 모르고 마음을 빼앗긴다. 

멀어서 좋은 사람은 그냥 멀어서 좋은 사람으로 두고

내가 집중해야 사람은 함께 얼굴을 보고 사는 사람이다.

 

함께 사람들 섭섭하게 하지 말고

마음 아프게 하지 말고

같이 있을 잘해야 한다.

 

우리가 살아야 현장은 어쩌다 한번 만나는 듣기 좋은 말씀을 하는 사람이나

어쩌다 한번 같이 먹는 멋져 보이는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이 주신 공동체 속에 허락하신

추함도 보고 못남도 보고 얼굴과 얼굴을 날마다 보고 사는 사람들이다.

 

같이 있는 사람에게 섭섭하게 하지 마라.

뿌린 대로 거둔다.

소자에게 것이 나에게 것이라고 하신 의도는

멀리서 보기에 좋은 말씀 전하고,

보기에 좋은 사람이 아니라

가까이서 초라하고 볼일 없어 보이는 초라한 그들에게 하라는 의미이다.

 

우리는 먹음직하고 보암직한 내가 손댈 없는 것에 마음이 간다.

그것은 하나님이 나에게 허락한 것이 아니다.

하나님이 나에게 허락한 것은 평범한 일상에 만나는

날마다 보는 초라한 소자들이다.

그들을 어떻게 섬기느냐로 하나님은 나에게 그대로 갚으신다.

.

.

 * 현지 교인들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간혹 다른 교회 목회자가 설교를 하면

자기의 담임목사보다 환호하고 마음을 주는 경우를 보게 됩니다.

특히 일년에 하는 컨퍼런스를 하면 그렇습니다.

그리고 그들에게 은혜 받았다고 적지 않은 물건도 드리고 물질도 드리는 경우를 봅니다.

 

그런데 그것을 바라보는 현지 교회 담임목사님들이 돌아서서 섭섭해 하는 것을 봅니다.

이유는 평소에는 자기에게 한번 사주는 일이 없는데

어쩌다 한번 듣는 설교에,

그분의 평소의 삶도 인격도 모르면서 한번 설교에 마음을 빼앗겨서 헌신하는 모습이 섭섭하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아마도 성도도 마찬가지 것입니다.

뭔가 물질적인 형편이 좋은 성도들에게 마음이 가고 많이 관심을 가지는 것을

일반 성도들이 사역자에게 느끼는 허전함이나 섭섭함과 같을 것입니다.

 

이런 문제들이 쌓이면 아무것도 아닌 것에 감정적으로 대하고

교회가 갈등이 되는 이유가 되는 것을 봅니다.

모든 갈등의 시작은 <섭섭함> 입니다.

 

우리가 기억할 것은 어쩌다 보는, 어쩌다 멀리서 듣는 설교자나 뛰어난 성도가 아니라

나에게 허락하신 공동체의 사람들을 귀하게 여기는 마음이 기초가 되어야 합니다.

손님을 대접하고 섬기는 것은 당연하지만

하나님이 허락하신 것은 나와 함께 있게 하신 사람들을 귀하게 여기는 마음입니다.

손님들은 엄청 대접하면서 같은 공동체의 사람들은 한번 대접하지 않는다면

결국 섭섭함은 갈등의 불씨가 됩니다.

 

사람의 죄성은 내가 속하고 내가 함께 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내가 손대지 못하고 넘어서는 안되는 곳의 선악과를 넘보게 됩니다.

그들을 동경하고 그들이 나의 성도, 나의 목사이기를 바라는 마음이지만,

선악과를 손댄 결과는 공동체의 사람과 깨어지는 것입니다.

내가 속한 공동체를 소홀히 여긴 당연한 결과입니다.

 

내가 속한 공동체의 사람들을 귀하게 여기는 대로 하나님이 나를 귀하게 여기십니다.

하나님은 내가 뿌린 대로 거두게 하십니다.

못나도 가까이 있는 사람에게 잘하십시오.

못난 사람에게 내가 하는 대로 하나님이 나에게 하십니다.

심은 대로 거두는 것이 신앙의 원리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가까이 있는 소자보다,

멀리 보이는 다른 것이 좋아 보입니다.

주님이 말씀하셨습니다.

" 소자에게 것이 나에게 것이니라"

내가 섬겨야 자들을 섬기는 공동체가 되기를 바랍니다.

Pastor Seo

Pastor Seo